목록all (163)
오식랜드
문자열 다음 두 문장의 출력 결과는 어떻게 될까요? print("Python", "Java") print("Python" + "Java") 첫 번째 문장은 콤마(,) 로 문자열들을 구분하였고 두 번째 문장은 더하기(+) 기호로 문자열들을 합쳤습니다. 실행시켜보면 이런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띄어쓰기가 되느냐 마느냐의 차이네요. 사실 print() 문에서는 문자열들을 구분하는 방법을 사용자가 직접 정의할 수 있습니다. 바로 sep 입니다. 분리 기호를 의미하는 separator 의 줄임말이죠. sep print("Python", "Java", sep=",") # 값들을 콤마(,) 로 구분 각 값들을 무엇으로 구분할지를 정해서 sep= 의 값으로 설정하면 되는데 여기서는 콤마(,) 로 했습니다. 조금 ..
함수 선언 def 함수이름 () : def 함수이름(): 실행 명령문1 실행 명령문2 .... 함수 사용 def greeting(): print('hi') greeting() # 함수 호출 함수 반환과 파라미터 소괄호() 안에 파라미터 전달 가능 return 을 통해 값 반환도 가능 def greeting(text): return print(text) greeting('bye') # bye 출력 또한 파라미터에는 기본값을 넣어줄 수 있습니다 def greeting(text='hello'): return print(text) greeting() # hello 출력 가변인자 좋아하는 과일 이름을 파라미터로 놓고 출력하는 함수를 만들었다 def fruit(fruit1, fruit2, fruit3, fruit4..
while 또한 for문과 같은 반복문입니다. 차이점은, for문은 리스트와 같은 반복 대상에서 값을 하나씩 꺼내서 반복작업을 수행하는 것 이소, while문은 조건이 만족하는동안 끝없이 반복합니다. 문법 while 조건: 실행 명령문1 실행 명령문2 실행 명령문3 .... 예를 들어, 한 카페에서 커피가 나왔을 때, 한 손님을 5번만 부르도록 설계되어있다고 한다면, 이렇게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customer = "홍길동" # 손님 index = 5 # 부르는 횟수, 총 5회 while index >= 1: # 부르는 횟수가 1 이상인 경우에만 반복 실행 print("{0}님, 커피가 준비 되었습니다. {1} 번 남았어요.".format(customer, index)) index -= 1 # 부르는 ..
문법 for 변수 in 반복대상: 실행 명령문1 실행 명령문2 반복대상에는 리스트나 세트를 넣어줍니다. num_list = [0, 1, 2, 3, 4] num_set = {0, 1, 2, 3, 4} for n in num_list: print("LIST : {0}".format(n)) # {0} 위치에는 n의 값이 들어가요 for n in num_list: print("SET : {0}".format(n)) # {0} 위치에는 n의 값이 들어가요 만약 대기번호를 배부하는 프로그램에서 리스트 또는 세트에 1~ 100까지 다 적어놓고 돌릴 수는 없다. 그럴 땐 우리가 초반에 배운 range를 사용해서 for문을 실행시키면 된다 for n in range(1, 101): # 1부터 101직전까지 (1~100)..
조건에 맞는 상황에만 메세지를 출력할 때에 if문을 사용합니다. 문법 if 조건식 : 실행할코드 조건식에는 true와 false로 구분될 수 있는 내용을 넣어줍니다 날씨로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weather = "비" if weather == "비": # = 은 2번 써야 해요!! print("우산을 챙기세요") 그리고 if문에서는 들여쓰기가 굉장히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if 만약 초코파이가 있으면: 초코파이를 사와 오예스를 사와 이렇게 하면 초코파이가 있을 땐 초코파이+오예스를, 없을 땐 오예스만 사게 됩니다. 반면에 if 만약 초코파이가 있으면: 초코파이를 사와 오예스를 사와 이렇게 하면 초코파이가 있을 때만 초코파이+오예스를 사게 되며, 없을 땐 아무것도 사지 않게 됩니다. elif문 조건을 2..
데이터타입 확인하기 menu라는 세트를 만들어서 데이터타입을 확인해봅시다. **type()**을 사용하여 확인 가능합니다. menu = {"커피", "우유", "주스"} print(type(menu)) # menu 의 type 정보 : set 세트를 리스트로 바꿔볼까요? menu = list(menu) # 리스트 형태로 변환 print(type(menu)) # menu 의 type 정보 : list 다시 처음 상태인 세트로 돌아가겠습니다. menu = set(menu) # 세트 형태로 변환 print(type(menu)) # menu 의 type 정보 : set 출처 : https://nadocoding.tistory.com/